육아교육이야기

🙊 아이에게 거짓말을 들었을 때,엄마가 해야 할 대처법

0슈가파우더0 2025. 7. 4. 12:56
반응형

 

 

 

💭 “엄마, 나 숙제 다 했어!”

 

그런데… 노트엔 아무것도 안 써 있고,
“간식 안 먹었어!”
하면서 입가엔 초콜릿 자국이 묻어있고 😅

 

초등 아이를 키우다 보면
정말 예상치 못한 순간에
아이의 작은 거짓말을 마주하게 돼요.

 

그 순간 엄마 마음은
당황, 서운함, 실망, 걱정…

온갖 감정이 스치죠.


“내 아이가 거짓말을 하다니!”
싶어서 감정이 앞서게 되기도 하고요.

 

하지만 잠시만 숨을 고르고,

 

🔍 왜 그랬을까?
아이의 마음을 들여다보는 게 먼저예요 😊

 


 

🧠 1. 아이가 거짓말을 하는 이유는 대부분 ‘이것’ 때문이에요

 

1~6학년, 모든 학년에 걸쳐
아이들이 거짓말을 하는 대표적인 이유는
바로 👉 **“혼날까 봐”**예요.

 

그 외에도 👇

  • 실망시키기 싫어서
  • 자신의 실수를 감추고 싶어서
  • 욕구(간식, 게임, 친구 만남 등)를 얻기 위해
  • 다른 사람처럼 보이고 싶어서 (허세)

 

📌 대부분의 아이들은
'거짓말이 나쁘다는 걸 알면서도'
감정을 먼저 선택하게 돼요.

 


 

😥 2. 그럼 엄마는 어떻게 반응해야 할까?

 

거짓말을 들었을 때,
화부터 내고 혼내는 반응
오히려 아이를 더 큰 거짓말로 몰아가요.

 

❌ “너 지금 거짓말했지?”
❌ “이럴 줄 알았어, 실망이야.”
❌ “다시는 못 믿겠다.”

 

이런 말은
🔻 아이의 자존감을 낮추고
🔻 다음엔 더 치밀하게 숨기게 만들 수 있어요.


 

✅ 아이가 거짓말했을 때, 엄마의 말 3단계

 

1단계: 감정 조절 먼저

 

💬 “엄마는 지금 조금 속상해.”
💬 “잠깐만 생각 좀 하고 얘기해볼까?”

즉각 반응 대신 여유 있는 시간 확보!

 

2단계: 아이 입장에서 바라보기

 

💬 “혹시 이 얘기를 하면 혼날까 봐 걱정됐어?”
💬 “그때 어떤 기분이었는지 엄마가 듣고 싶어.”

아이의 감정을 먼저 확인해주는 대화가 핵심이에요.

 

 

3단계: 다음에 어떻게 할 수 있을지 함께 고민

💬 “다음에 또 이런 일이 생기면 어떻게 해볼까?”
💬 “엄마는 솔직하게 말해주는 너를 믿고 싶어.”

처벌보다는 회복과 신뢰 회복에 집중!

 


 

🌿 3. 초등학생 거짓말, 나쁜 아이의 증거일까?

 

절대 아니에요! ❌

 

📌 거짓말은 ‘도덕성 부족’의 문제가 아니라
‘감정 조절 능력’과 ‘상황 판단력’의 미성숙에서 나오는 경우가 대부분이에요.

 

특히
3~6학년 아이들은

  • 자존심이 점점 커지고
  • 실수를 인정하는 게 부끄러워지고
  • 실망을 피하고 싶어지기 때문에

자기 방어적인 거짓말이 종종 나올 수 있어요.

 

엄마가 이걸
도덕성의 문제로 몰아가면
아이도 스스로를 나쁜 아이로 느끼게 돼요.

 


 

🧸 4. 아이가 솔직해질 수 있는 집은 어떤 곳일까?

 

✅ 실수해도 혼나지 않는 분위기
✅ 엄마가 실수했을 때도 “그땐 내가 그랬어” 하고 인정해주는 모습
✅ “솔직하게 말해줘서 고마워”라고 말해주는 경험

 

아이들은 이런 집에서
실수를 두려워하지 않고, 말할 용기를 조금씩 배우게 돼요.

 


 

💛 5. 마무리하며…

 

거짓말을 했다고 해서
아이를 불신하거나, 미래를 걱정하지 않아도 괜찮아요.

 

중요한 건
아이와 진짜 믿음을 쌓는 기회로 삼는 것.

화보다 공감,
꾸지람보다 회복,
추궁보다 이해가 먼저예요.

 

“너 솔직하게 말해줘서 엄마는 정말 고마워.”


이 말 한마디가
다음번에도 아이를 정직한 선택으로 이끌어주는 힘이 될 거예요 🌷

반응형